본문 바로가기

바다 속 해양생물학16

해달 해달은 북태평양 북쪽과 동쪽에 서식하는 해양 포유류입니다. 다 자란 해달의 몸무게는 14~45kg이며, 이는 족제빗과의 종류 중 아주 무거운 편이지만 해양 포유류 중에서는 아주 가벼운 편입니다. 다른 해양 포유류와는 달리 해달의 보온 장치는 지방질이 아니라 매우 두꺼운 털가죽입니다. 땅에서 걸을 수 있지만 땅을 한 번도 밟지 않고 일생을 보내는 것이 가능합니다. 해달은 해안지역에 서식하며 먹이를 위해서는 해면으로 잠수합니다. 해달의 주식은 성게, 연체동물, 갑각류, 물고기 등이 있습니다. 이들의 식성과 먹는 방식은 여러 방면에서 특이합니다. 우선 도구를 사용하는 몇 안 되는 동물이라는 점인데 바위를 이용해 조개 등을 깨는 습성에서 볼 수 있습니다. 서식지에서 해달은 성게 수를 조절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2022. 7. 31.
범고래 범고래는 능동적인 포식자입니다. 이들의 주식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물고기를 주로 먹는 무리가 있는가 하면 바다사자와 다른 고래를 포함한 동물을 사냥하는 무리도 있습니다. 범고래는 크게 다섯 종류로 나뉘며 이들을 아종이나 다른 종으로 구분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범고래는 매우 사회적인 동물이며 상당히 안정된 모계 사회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범고래들은 사회행동과 사냥법 및 독특한 노래로 범고래들 특유의 문화를 보여 줍니다 다른 과의 고래들과는 다르게 범고래는 전 세계적으로 멸종위기에 놓이지는 않으나 몇몇 지역군에서는 존망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해양오염과 먹이의 감소, 어선과의 충돌이 있습니다. 야생 범고래는 보통 인간에게 위협적인 존재로 여겨지지는 않으나, 해양공원에서 사육된 범고래.. 2022. 7. 30.
상어 이번에 알아볼 생물은 영화 조스로 잘 알려진 상어입니다. 상어는 연골어류에 속하는 어류입니다. 전 세계의 열대에서 한대까지의 해양에 널리 분포하는데, 대부분은 열대에서 온대에 걸친 따뜻한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생활의 범위는 한정되어 있지 않고 담수역에도 서식하는 종이 있습니다. 전 세계에 350종이 분포하며 크기는 전체 길이 18m인 고래상어에서 겨우 15cm인 상어까지 여러 가지인데, 80% 이상은 전체 길이가 2m 이하입니다. 인간에게 해를 준다고 기록된 것은 30종 정도로 대표적으로 백상아리, 청상아리, 악상어, 흉상어, 귀상어, 뱀상어 등이 있습니다. 상어의 먹이는 커다란 고래부터 작은 플랑크톤까지 다양한데, 포식성 상어들의 경우 빠져도 얼마든지 다시 자라나는 날카로운 이빨과 강력한 턱 덕분에 .. 2022. 7. 27.
멍게 멍게 또는 우렁쉥이는 척삭동물문 해초강 측성해초목 무척추동물입니다. 과거에는 ‘우렁쉥이’만 표준어였고, ‘멍게’는 방언이었지만, 이제는 ‘멍게·우렁쉥이’가 복수 표준어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멍게는 피낭동물에 속하는 해초강 측성해초목 멍게과 멍게속에 속하는 동물입니다. 멍게속에는 61개의 생물종이 보고되어 있으며 일본과 한국에서 식용으로 쓰는 것으로는 멍게 외에도 동해안에 서식하는 붉은 멍게, 흔히 "돌 멍게"로 불리는 리테르개멍게 등이 있습니다. 멍게는 부드러운 속살을 가지고 있으며 바깥은 딱딱한 껍데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껍질은 단단한 셀룰로스로 되어있습니다. 멍게가 유생일 때에는 올챙이 모양으로 헤엄쳐 다니지만, 성체는 바위에 붙거나 해저 바닥의 흙 속에 파묻혀 살기 때문에 움직이지 못합니다. 멍게는.. 2022. 7. 26.